|
주진군은 둔전의 경작에 종사하건 그렇지 않았던 屯田軍的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2. 주현군과 주진군
1) 주현군과 농민
(1)주현군의성립
(2) 주현군의 성격
2) 주진군과 국방체제
(1) 양계의 주진과 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4장 고려후기 무신정권과 그 사회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그 변천
1. 무신란의 발생
2. 무신정권의 추이와 그 성격
3.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Ⅱ. 무신정권기의 경제와 사회
1. 전시과체제의 붕괴와 농장의 성립
2. 농민과 천민의 봉기
|
- 페이지 44페이지
- 가격 5,500원
- 등록일 2010.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현군의 군인은 일정한 군영에 주둔하지 않은 예비군적인 존재로 서울이나 양계로 분번입역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양계는 국경 지대였으므로 남쪽의 주현군과는 달리 주진군으로 편성되었다. 양계에 배치된 주진군은 초군·좌군·우군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진군은 북경지역에서 머무르면서 실전에 투입되는 군인으로 전투준비도 하면서 사신단의 무기와 짐, 식량을 담당한다.
오늘날로 치자면 용호군은 청와대 경호실 정도고 주진군은 군역의 의무를 지고 상비군으로 주둔한 농민, 사냥꾼, 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민 반란의 성격을 지니면서도 천민 집단인 소민이 중심이 된 신분 해방 운동의 측면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전주 관노의 난
전주에서는 출신이 농민인 주현군(州縣軍)의 보승(保勝)·정용(精勇)과 관노(官奴)·승려가 합세하여 항쟁을 일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