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림칠현과 같이 도가적 취락사상에 빠져 현실 부정적인 문학을 일삼았던 것은 아니다. 사상면에서도 죽림고회에서는 중심인물인 이인로와 임춘이 불교에 대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과 같이 죽림칠현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참고문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지처였는지도 모르겠다.
(3) 향수(向秀)와 곽상(郭象)
위진 시대의 현학을 대표하는 저서 중 눈여겨 볼만한 것이 바로 장자주(莊子注)이다. 이는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향수(向秀,자는 자기(子期), 227~277)가 저술했던 것을 그가 죽은 뒤 곽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 해가면서 사회가 향락주의로 되어가고 강남으로 이동해서는 강남의 좋은 풍경과 함께 그 강도를 더해갔다. 앞절에서 했던 남경 육조시대의 귀족들의 사치풍조도 이런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죽림칠현의 기행에 대해 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림칠현이 그랬듯이 현실에 대한 철저한 부정의 정신을 지니지는 못했다. 이들은 애초에 확고한 세계관적 선택에 의해 죽림에 자리 잡은 인물들이 아니라 무인들의 칼날에 밀려 쓴 잔을 마시고 있던, 한때는 ‘잘 먹고 잘 살던’ 세력들이었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림칠현(竹林七賢)의 경우는 청담(淸談)을 즐기려 현실을 벗어나 산속 깊은 곳으로 도피(逃避)하였다.
이런 노자의 현실도피적인 면은 그의 사상이 가지고 있는 치명적 오류인 것 같다. 현실도피와 자살은 같은 부류이다. 그리고 지금 사회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