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민족동질성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목 차>
1. 머리말
2. 조선족의 특수 위상
⑴혈맹관계
⑵보은관계
⑶상보관계
3. 남북통일 과정에서의 중국조선족의 역할
4. 맺음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Q5.우리의 대북지원이 일방적 '퍼주기'라는 사회 일각의 비판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Q6.우리는 남북간의 사회통합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하나?
Q7.화해·협력시대 통일교육의 기본 방향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은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표면적으로 드러내면서 진행해나가고 있는데 우리정부는 중국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고자 맞서 대응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매우 안타까움도 느끼게 되었다. 국가적 차원에서 간도 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 조선족, 그리고 우리의 정책」『정세와 정책』2000-04. 세종연구소.
최우길 2000c.「현대 중국 민족문제에 관한 소고」『세계지역연구논총』14
최우길 2000d.「다시 한민족을 생각한다: 남북화해와 통일을 잇는 다리」『미래의 얼굴』
최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 동북3성에 거주하는 200만 규모의 조선족은 한반도 통일과정 뿐만 아니라 통일이후에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왜냐하면 조선족 사회는 남북통일에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인 지역이며 경제 및 문화공동체의 중요한 부분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