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부방언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충청남북도, 황해도 재령 이남, 함남 영흥 이남 및 강원도 지역에서 쓰이는 대방언권
-역사적으로 신라어의 개신파를 입은 개성 중심 방언과 서울 중심 방언이 이어져 온 것. 중앙어로서 지위 천 년간 누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6.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형을 제시한 다음에 표준어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밑에 뜻을 적고, 어느 작품 어느 페이지에 나오는지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Ⅱ-3. 김유정 대표문학작품 속 강원도 방언
Ⅱ-3-1. 품사별 어휘 분류
ⅰ. 명사
1) 가생이(경기, 전북, 평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1) 충청도 방언
1. 충청도 방언
충청도 방언은 흔히 사람들에게 부드럽게 넘어가는 억양과 느린 속도로 기억된다. 국어 방언학의 초창기에는 충청 방언의 독립성이 인정되지 않은 채 1960년대까지 경기 혹은 중부 방언권에 예속되어 있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으로 나뉜다.
① 동북방언: 한국 북동부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함경남북도의 대부분의 지역을 포괄하 며, 함경도방언 또는 관북방언(關北方言)이라 불리기도 한다.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은 중부 방언의 특색이 짙다. 동북방언은 음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사전 편찬 방법론, 인문논총 6,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강춘(1989) - 방언분화의 음운론적 연구, 한신문화사
오종갑(1998) - ‘ㅔ, ㅐ’의 변화와 관련된 영남방언의 특성과 그 전개,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하야육랑(1945) - 조선방언
방언 사투리, 지역어 표준어,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의미, 방언(지역어, 사투리) 특징, 방언(지역어, 사투리) 연구, 방언(지역어, 사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