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은 어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가?
\'합용병서\'란 두 글자를 나란히 쓴 \'각자병서\' 와 달리 서로 다른 글자 둘 또는 셋을 나란히 쓴 것이다. 이에는 첫소리(,,), 가운뎃소리(과,홰), 끝소리(,)의 세 경우가 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자의 소리
4. 각자병서(5가지)
5. 합용병서(ㅂ계, ㅅ계, ㅄ계)
6. 비읍순경음 글자의 소리
7. 단모음체계
8. 이중모음체계
9. 종성의 표기법
10. 달라진 음운현상 (ㄹ탈락, ㅎ탈락, ㄱ탈락)
11. 중세국어의 합성법
12. 중세국어의 파생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익섭, 이상업,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정경일 외(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계
6) 표기
2. 중세국어
3. 근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 와서 된소리로 통일되었다. 또 ㅅ이 사용된 합용병서도 있었는데 이들은 된소리에 해당된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일어난 중요한 자음 변천으로는 모음이나 유성자음 사이에서 \'ㄱ\'음이 탈락하는 현상, \'ㅎ\'말음 체언의 사용, 한 단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음되는 전설모음화 현상은 근대국어 후기에 나타남.
아칭>아츰>아침 스까힝>스굴>시골 거즛>거짓 츨>칡 힝다>ㅶㅣ가다>찢다 Ⅰ. 중세국어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 병서자(합용병서, 각자병서)
3. 성조체계
4. 소실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