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은 어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가?
\'합용병서\'란 두 글자를 나란히 쓴 \'각자병서\' 와 달리 서로 다른 글자 둘 또는 셋을 나란히 쓴 것이다. 이에는 첫소리(,,), 가운뎃소리(과,홰), 끝소리(,)의 세 경우가 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자의 소리
4. 각자병서(5가지)
5. 합용병서(ㅂ계, ㅅ계, ㅄ계)
6. 비읍순경음 글자의 소리
7. 단모음체계
8. 이중모음체계
9. 종성의 표기법
10. 달라진 음운현상 (ㄹ탈락, ㅎ탈락, ㄱ탈락)
11. 중세국어의 합성법
12. 중세국어의 파생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예) 합용병서의 음가
·ㅴ - ㄱ의 경음
·가가ㅵ - ㄷ의 경음
·가 - ㅂ의 경음
·가 - ㅈ의 경음
·가 - ㅅ의 경음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합용병서의 음가 참조
·격음화 - 고ㅎ(鼻) 코
·유성음화 - 까힝(秋)
·자음탈락 - 나리(川)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 와서 된소리로 통일되었다. 또 ㅅ이 사용된 합용병서도 있었는데 이들은 된소리에 해당된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일어난 중요한 자음 변천으로는 모음이나 유성자음 사이에서 \'ㄱ\'음이 탈락하는 현상, \'ㅎ\'말음 체언의 사용, 한 단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음운현상을 살펴보았다. 음운현상을 기존의 음소단위로 설명함으로써 극복하기 어려웠던 말머리의 합용병서자가 추상적 음운의식에서 오는 기저음절과 실제 소리나는 표면음절과의 차이에서 오는 음절구조의 문제라는 것을 밝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