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쥐이다. 생쥐는 사람들이 물과 불을 사용할 수 있게끔 해준 것이다. 쥐가 물과 불의 창조자라는 믿음은 쥐가 영물로 자리매김 해왔음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종대,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다른세상, 2001년, pp.379-380
3. 쥐와 돼지의 부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양대(중국어교육)
벌로마(2009), 한국어의 동물속담에 나타난 상징의미 연구, 건국대 대학원
김선정외(2007), 살아있는 한국어(속담), korea language plus 1. 쥐
2. 소
3. 호랑이
4. 토끼
5. 용
6. 뱀
7. 말
8. 양
9. 원숭이
10. 닭
11. 개
12. 돼지
한국전통문화 소,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호랑이, ]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돼지
2-2-3 부계권력 강화의 상징인 돼지
2-2-4 신에게서 인간으로 - 고사상에 오르게 된 돼지
2-3 민간 신앙 속의 돼지
2-3-1 풍속 속의 돼지 - 상해일(上亥日)
2-3-2 복을 가져다 주는 돼지
2-3-3 천박하고 지저분한 돼지
3. 쥐
3-1 쥐의 생태적 특성.
3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쥐를 잡는 것을 목적으로 라면 가축이 될 수도 있고 그냥 집에서 귀여운 고양이로 키운다면 애완동물이 되는 것입니다.
즉, 가축과 애완동물의 차이점은 그냥 키우느냐 아니면 그 짐승의 능력을 인간이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쥐, 용 등이 등장하는데, 여우가 가장 많고, 쥐, 호랑이, 돼지 등이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다. 여우가 인간으로 둔갑할 때에는 다른 동물의 둔갑과는 달리 여의주나 사람의 해골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거나, 재주를 넘는 방법을 써서 둔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