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수무원록』을 근거로 한 검시이다. 그 당시 이런 정확하고도 세밀한 검시 방법을 적은 책이 있었다는 것이 놀랍다.『증수무원록』은 당시 조상들의 지혜와 현명함이 깃든 원통한 백성들을 달래줄 소중한 우리나라의 자산이었던 것이다.
Ⅲ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증수무원록언해, 송철의 외, 서울대학교출판부, p325~ ‘구타사’
이처럼 검시를 한 후에는 정밀하고 객관적인 용어를 사용하게 하여 타물, 타물상해, 자액, 조액 등등의 용어에 대해 정리를 했다. 법률적 용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 정의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원록’의 발전과 한계
‘신주무원록’은 1440년 강원도에서의 편찬을 시작으로 하여 조선후기까지 사용되었다. 후에 1748년 영조의 명을 받아 구택규가 ‘증수무원록’을 작성하였고 1796년에는 그의 아들인 구윤명이 ‘증수무원록 대전’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원록 중간본 수입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최치운,
이세형, 변효문, 김황, 1438)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 구택규,
1792)
증수무원록대전, 무원언해, 심리록,
검요, 흠흠신서, 시장(屍帳) 발간
조선시대 검시의 특징
현장 임검
삼검제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8.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증수무원록언해』, 정약용의『흠흠신서』를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살인사건 수사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범인의 자백과 시체의 상처가 증거로 제시되어야 했다.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문 방법이 동원되었으나 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