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부
附子
부자
(五臟氣虛,痰飮結聚發,同紅棗、蔥、薑,水煎冷服。
부자는 5장기허에 담음이 결취하고 학질이 생김에 홍색대추, 파, 생강과 함께 물에 달여 차게 복용한다.
眩厥逆,加陳皮、甘草、訶子。
현기증으로 넘어지고 궐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복령 저령 치자 추백피 재백피
(止嘔逆,下氣。)
복령, 저령, 치자, 추백피, 재백피는 구역을 멎게 하고 기를 내린다.
蘇方[枋 枋(다목, 활엽교목의 하나 방; 木-총8획; fang)
]木
소방목
(人常嘔吐,用水煎服。)
사람이 항상 구토함에 물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복령
猪 저령
石膏석고
(水泄,腹鳴如雷 硏,飯丸,服二十丸,二服愈。)
석고는 물설사와 우레처럼 배가 울음에 불에 달구어 갈아서 밥으로 환을 만들어 20환을 복용하니 2번 복용하면 낫는다.
雄黃웅황
(暑毒泄痢,丸服。)
서독의 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기가 어려움은 태양병의 방광이 불리함이다.
腹滿 鼻乾 嗜臥,一身及面目悉黃,潮熱、陽明也.
복부창만하고 코가 건조하고 눕길 즐기며 온 몸과 안면 눈이 모두 황색이면서 조열하면 양명증이다.
時時、三陽具見而氣逆甚也.
때때로 딸꾹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식혀서 물로 복용한다.
石膏
석고
(傷寒頭痛如裂,壯熱如火,解肌發汗,陽明潮熱大渴。同黃連煎服,治傷寒發狂。)
석고는 상한병에 쪼개지는 듯한 두통과 불타는 듯한 장열에 기육을 풀고 발한하며 양명병의 조열로 크게 구갈함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