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0건

草部〕 초부 附子 부자 (五臟氣虛,痰飮結聚發,同紅棗、蔥、薑,水煎冷服。 부자는 5장기허에 담음이 결취하고 학질이 생김에 홍색대추, 파, 생강과 함께 물에 달여 차게 복용한다. 眩厥逆,加陳皮、甘草、訶子。 현기증으로 넘어지고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복령 저령 치자 추백피 재백피 (止嘔逆,下氣。) 복령, 저령, 치자, 추백피, 재백피는 구역을 멎게 하고 기를 내린다. 蘇方[枋 枋(다목, 활엽교목의 하나 방; 木-총8획; fang) ]木 소방목 (人常嘔吐,用水煎服。) 사람이 항상 구토함에 물을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복령 猪 저령 石膏석고 (水泄,腹鳴如雷 硏,飯丸,服二十丸,二服愈。) 석고는 물설사와 우레처럼 배가 울음에 불에 달구어 갈아서 밥으로 환을 만들어 20환을 복용하니 2번 복용하면 낫는다. 雄黃웅황 (暑毒泄痢,丸服。) 서독의 설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변 보기가 어려움은 태양병의 방광이 불리함이다. 腹滿 鼻乾 嗜臥,一身及面目悉黃,潮熱、陽明也. 복부창만하고 코가 건조하고 눕길 즐기며 온 몸과 안면 눈이 모두 황색이면서 조열하면 양명증이다. 時時、三陽具見而氣逆甚也. 때때로 딸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물에 식혀서 물로 복용한다. 石膏 석고 (傷寒頭痛如裂,壯熱如火,解肌發汗,陽明潮熱大渴。同黃連煎服,治傷寒發狂。) 석고는 상한병에 쪼개지는 듯한 두통과 불타는 듯한 장열에 기육을 풀고 발한하며 양명병의 조열로 크게 구갈함을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총14획; ruo) (天南星) 귀구약 천남성 山大黃 (酸模) 산대황 산모 牛舌大黃(羊蹄) 우설대황 양제 土 (土茯) 토비해 토복령 刺猪(土茯) 자저령 토복령 白 () 백발계 비해 赤 (승검초, 당귀 벽; 艸-총17획; bi,bao,bo) (타래붓꽃, 과수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복령 저령 담죽여 선인장 (氣嘔逆,煮汁服。) 복령, 저령, 담죽여, 선인장은 딸꾹질로 구역함에 달인 즙을 복용한다. 〔水石〕 물과 돌 陰陽水 古 음양수 고전 (煮汁。) 음양수와 고전은 달인 즙을 낸다. 滑石 활석 〔蟲鱗〕 벌레와 비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복령 저령 택사로 좌사약을 삼는다. 一說에 下元의 土盛剋水하여 致督任衝三脈이 盛하야 火旺煎熬하여 令水沸騰而乘脾肺라 일설에 하초근원의 토가 왕성하여 수를 극하여 독맥, 임맥, 충맥 3맥이 왕성하여 화가 왕성하여 지지고 볶으며 물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저령, 복령, 상엽, 오이, 수박, 백모근 30g, 유근피 50g 엿기름 등을 달여서 먹는다. (반드시 한의사와 충분히 상의 후 복용할 것!!) [주의 - 간질환의 경우 양약이든 한약이든 간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처방시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식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복령,택사,저령,등심 등의 약재를 쓴다. 이 약재를 체질에 맞게 첨가하여 처방하면 시간과 경비를 줄이면서 대소변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체중감량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 때 활용할 수 있는 처방으로는 체감제습탕이나 체감
  • 페이지 5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