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6건

『芝峯集』卷 7 五七言古詩. 촌옹이 비를 맞고 길을 나서는데 도롱이 입고 삿갓을 Ⅰ. 序 論  1. 지봉 이수광은 누구인가?  2. 인생관  3. 철학사상  4. 실학사상 Ⅱ. 本 論  1. 詩 작품 소개     Ⅲ. 結 論 <참고문헌>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봉집(芝峰集)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광(李邈光)의 문집. 341권(부록 3권 포함). 목판본. 초간본은 이수광이 죽은 지 5년 후인 1634년(인조 12) 두 아들 성구(聖求)와 민구(敏求)가 유고(遺稿)를 편집해 2년 동안에 걸쳐 의령(宜寧, 宜春)에서 간행하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지봉 이수광의 경우를 하나의 예로 들기로 하자. 그의 저술인 {지봉유설 芝峯類說}에는 양명우파인 나홍선(念庵 羅洪先, 1504~1564)과 양명좌파로 지목받는 초횡(澹園 焦, 1541~1620)의 시나 학설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학의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누구를 거론하고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本論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친제와 어제 중 아무래도 친제 쪽에 더 무게를 두고자하는 것이 개인적 생각인데,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았을 때, 訓民正音 창제 시 기록에 世宗만이 作成者로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수광이<지봉유설(芝峯類設)>에서 최치원의 작품이라고 한 ‘화개동시(花開洞詩)’8수에서 자연에 동화되어 달관과 관조의 경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시들은 후대인의 모작이 아닌가 의심스럽기 때문에 여기서는 논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