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고조 술율후소매조대왕
오대사통속연의 28회 거란 군주는 진나라 고조를 책립하고 술률태후는 웃으며 조대왕을 욕하다
제이십구회 일거성회도두얼보 삼수반명의차삭평
오대사통속연의 29회 한 횃불로 재를 만들어 마침내 업보를 받
|
- 페이지 7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7.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영토로 보면서, 진의 요동외요와 한후국인 연에 속한 것은 고조선 본국으로 보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 그결과 고조선과 연·진·한의 국경인 만번한·패수·진고공지 등의 위치 고증에도 오류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가 한서 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하고 나아가 이를 ‘가꾸고 가다듬는’ 정성에 의해 본연의 가치가 되살아날 수도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입장에서 임재해와 더불어 지역을 강조하고 있어서 지역과 문화를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삼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율의 표준이된다.
특경
모양은 편경보다 크며 각퇴로 친다. 문묘나 종묘 제향악의 등가에 사용된다.
절고
문묘악과 종묘악의 등가에 사용된다.
진고
네 기둥을 세우고, 거기에 횡목을 가로 질른 틀위에 올려 놓은 북이다.
고려때 수입된 악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고: 북 가운데 가장 크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한다. 시작과 끝에 사용한다. 곡 중간에도 절고와 함께 악절 끝마다 두 번씩 쳐준다. 북통이 검붉은 색이다.
⑭ 방향: 16개의 쇠 조각. 두께가 두꺼우면 소리가 높다. 길이는 모두 같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3.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