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덕궁 깊이 읽기』, 글항아리, 2012, 426쪽.
순종이 인정전에서 초대 조선총독인 데라우치 일행과 찍은 기념사진에는 좀 더 변화된 모습의 인정전이 눈에 띈다. 인정전의 이중 기단에는 마치 오늘날의 테라스처럼 테이블과 의자들이 배치되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덕궁에서 보이는 풍수적 사상을 보자. 창덕궁의 경우 금천교 밑을 흐르는 명당수를 서쪽 돈화문 근처에서 동쪽으로 흐르게 물길을 잡았다. 이것은 서류동입하는 물길이 성덕을 가져다준다는 명당수의 개념을 인위적 궁궐에 적용한 예이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덕궁이라 명명하였 다. 그 후 계속 인정전 (仁政 殿)선정전(宣政殿)소 덕전(昭德殿)빈경당(賓慶堂) 여일전(麗日殿)정월전(淨月殿)옥화당(玉華堂) 등 많은 전당을 건립하였는데, 1412년 돈화문(敦化門)을 건립하여 궁궐의 면모를 갖추었다.
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보면 재현행사가 늘 행해지고 있었다. 왕궁수문장교대의식이란 것인데 조선시대 왕궁에는 수문군이라는 군대가 있어 궁궐문을 개폐, 경비, 순찰하는 업무등을 수행했다고 한다. 이러한 수문군이 교대하는 의식을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1996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덕궁 홈페이지 (http://www.cdg.go.kr)
1920년 창덕궁 벽화 조성에 대한 연구 (DBpia)
창덕궁 인정전 실측 보고 (DBpia) 1.조선시대의 궁궐
1)조선궁궐의 역사
2)창덕궁과 경복궁은 어떻게 다를까?
2.우리나라의 자랑 창덕궁
1)창덕궁의 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