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운학은 운서의 형식적 면에, 등운학은 음의 분류와 기술에 이용되었던 것이다. 동국정운(東國正韻)이나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이러한 편운학이나 등운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6.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제목적 정달영/2007
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 김종영/한국중앙연구원/2006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 배병삼/정치사상연구 2005
세종대왕의 독서론 이만수/2005/대진대독서문화연구소
조선세종조의 조회 김제훈.2004
세종대의 법과 정치 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제는 임금의 업적을 기릴만한 \"공\"이라고 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하창제(殿下創制)라고 한 것은 실제로 세종이 훈민정음의 창제를 도맡다 시피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최만리의 상소에도 나타난 친제설의 근거
최만리의 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제와 관계가 없다고 단정하기가 어렵다. 새 문자 완성에 더욱 박차를 가했을는지도 모른다.
요컨대, 문자혁명이 일어날 필연적인 당시의 문자생활의 실정을 확인하고, 창제의 기운이 세종 16년 경에 무르익기 시작했다고 가정해 보려는 것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제 ………………………………………… 3
3. 과학기술 ………………………………………… 5
4. 음악 ………………………………………… 8
5. 군주로서의 자질 ……………………………… 9
Ⅲ. 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