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내
시숙/시동생
남편의 어머니
어머님
남편의 여자동생
동서
남편의 남자형제
시동생, 도련님
남편의
여자형제의 남편
시메부 1. 친척의 개념
2. 친척어장의 생성원인
3. 친척어장
●친가
● 외가
●처가와 시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호칭 처가호칭> ; 김태희 ; 1995.
<국어 경어법 연구> ; 김종훈 ; 1984.
[표준화법] - 국립국어원
[장애인보지법]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한국어의 친족호칭에 대하여 ; 박은용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와 지칭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가, 시가, 친정 등의 계보에 따라 체계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영어의 ‘uncle’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우리말에서는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삼촌, 당숙, 고모부, 외숙부, 이모부 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이는 영어권 사회와는 달리 우리 사회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가와의 갈등 ……………………………………··4
1) 나무꾼에게 재결합을 위한 자격요구 ……………………·4
2) 재결합을 방해하는 처가식구들의 시기심 ………………·4
3. 선녀와 시가와의 갈등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살이 또는 부거제(pathlocal)와 처가살이 또는 모거제(matrilocal)및 단가살이 또는 신거제(neolocal)등 세 가지로 구분한다.
시가살이 또는 부거제는 자녀가 흔인 후 그의 친정집을 떠나서 남편의 집으로 입주하여 시가 식구들과 동거하는 제도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7.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