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21세기북스 2012 1. 청동기의 보급
2. 철기의 사용
3. 청동기·철기 시대의 생활
4. 청동기·철기 시대의 예술
5. 단군과 고조선
6. 위만의 집권
7. 고조선의 사회
8. 부여
9. 고구려
10. 옥저와 동예
11. 삼한(한)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기의 보급
1. 철기 보급
2. 철제 농기구의 발달
Ⅲ. 철기시대의 주거지
1. 양주 수석리유적
2. 보령 교성리유적
3. 보령 진죽리유적
4. 보령 관창리유적
5. 대전 궁동유적
6. 김해 대청유적
7. 제주 삼양동유적
8. 삼천포 늑도유적
Ⅳ.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기 시대
1. 초기 철기의 시작
2. 철기의 사용
3. 철기 제품
⑴ 철검
⑵ 협도
4.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생활
5.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예술
6. 철기시대의 연맹왕국
7. 철기 문화의 발전
⑴ 철기 문화의 보급 시기 ; 기원전 4세기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동기의 극성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분기점을 설정하는 데에 문제점이 뒤따른다. 그러나 그 시기는 어디까지나 청동기문화전통이 지속되던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본격적으로 철기가 보급되는 서력기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동기와 초기철기시대의 주거는 하천이나 해안에 형성되었으며, 이전보다는 좀 더 큰 취락을 이루었다. 수혈의 깊이가 낮아서 실제로는 거의 지상주거의 형태를 띄었다.
이 시기는 농경이 보급되어 큰항아리를 바닥에 거꾸로 박은 저장공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