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해 매체물 심의를 맡았던 사전심의가 헌법에 위배된다고 하여
1996년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사후심의로 변경된 것.
청소년 보호 위원회 음반 사후심의 제도
2006년에 도입된 모니터링을 통해 선정된 유해 대상 곡은 전문가 9명으로 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반이 유해한지의 여부도 결국은 일반인의 사회통념에 따라 판단할 수밖에 없다. .
한편, 일반인의 사회통념을 심의기준으로 할 경우에 일반인을 대표하는 것이 음반심의위원회와 청소년보호위원회이다. 그런데 청소년보호위원회에 대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해음반판정에 대한 개선
어떤 음반이 유해음반 판정을 받았다고 해도 인터넷 등으로 마음만 먹으면 19세 이하 청소년들도 모두 다 들을 수 있다. 10cm의 아메리카노는 이후에 CF에도 쓰여서 전국민이 아는 노래가 되었다. 만약 어떤 음반이 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소년 유해음반 심의제도
공공정책과 법
1) 현재 음반심의제도의 현황
╋━━━━━━━━━━───────────────
지난해 2월 이후 무려 868곡
유해매체 판정
≪ 표 - 그림 파일 ≫
1) 현재 음반심의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소년보호위원회 고시업소 (현재 미고시)
② 규제내용
대상
행위자
위반행위
위반시 형사처벌
과징금 (타법령에 의한 행정처분의 대상이 아난경우)
청소년 고용금지위반
업 주
제24조제1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청소년을 유해업소에 고용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