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능을 한다.
31. 다음 밑줄 친 단어의 품사는?
한 사람이 오지 않았다.
새 4자전거를 끌고 왔다.
①6명사 ②관형사 ③동사 ④부사 ⑤감탄사
32. 다음 중 부사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①모든 사람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자.
②일요일인데도 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태나 성질이 어떠함을 묻는 데에 쓰이는 형용사이다.
의문 형용사로는 “어떠하다”와 “어떻다”의 두 가지 형태가 주로 쓰인다.
3. 수식언
1) 관형사
관형어란 체언의 수식어로서 명사구를 이루는 요소이다. 명사구의 머리 앞에 놓이는 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언 앞에서 그 체언의 뜻을 분명하게 제한하는 품사이다.
국어의 관형사 가운데 고유어는 얼마 되지 않고 한자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관형사는 체언이외의 품사는 꾸미는 일이 없다.
고유 명사, 상태성의 명사(성실, 무한....)는 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언화의 개념과 범주\", 국어국문학회, 제93권 1985.5
임홍빈(1998), \"명사화의 의미 특성에 대하여\", 『국어문법의 심층1』pp.529~551, 태학사
박기성(2009), \"영어와 한국어의 명사화에 관한 비교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제51권 제 3호 2009.8
송창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떠하다’고 꾸며 주는 구실을 한다.
고유어
시, 헌, 첫, 옛, 외딴, 거짓, 윗, 오른
한자어
雜, 生, 新, 超, 異, 今
성상 관형사는 고유어로 된 것과 한자어로 된 것이 있다. 한자어 관형사는 ‘雜誌, 生活, 新聞’ 등과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