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일 것이다.
따라서 북동아시아에서는 동남아시아나 남아시아에서 보는 것과 같은 지역통합이라고 하는 시각에서의 접근은 거의 의미가 없다. 게다가 러시아 극동지역이든 중국 동북부든 간에 거기에는 여전히 중앙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주한 미군문제와 관련하여, 러시아는 주한 미군이 북한의 군사적 대남도발을 억제시키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함은 물론 중-일간의 군비경쟁을 약화키면서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에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여 왔다. 물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자간 안보협의체 창설에 대해 공감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Qian Qichen. 1993; 9). 그러나 중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간 안보협의체라면 반대한다는 입장은 분명히 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는 동북아 역내국가들 중에서 다자간 안보 협력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변할 때 동북아에 다자간 안보공동체가 설립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Ⅶ. 동북아다자안보협력(동북아시아다자간안보협력)과 한국의 과제
동북아 다자간안보협력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은 위에서 적시되었다. 나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따라서 우리는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강대국에 상응하는 대우를 제공하는 한편 한미동맹 관계의 고려에서 오는 제약을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 구축을 위한 동반자 관계를 강화할 뿐 아니라 한반도 평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