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전달량
3) 실험식에 의한 총합 열전달계수 (내부관 기준)
4) 경험식에 의한 총합 열전달 계수
내부관
323
55.06
643
3.54
327
51.87
647
3.31
333
47.09
653
2.97
외부관
293
100.3
602
6.96
297.6
90.98
609
6.24
303
80.04
617
5.4
①내부관의 유속
②외부관의 유속
③내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유량의 단위환산
2) 물성치의 내삽법
3) 관 단면적(D)
4) 고온 유체에서의 유속
5) 저온 유체에서의 유속
6) Reynolds number
7) Q (열량)
8) 대수평균 온도차()
9) 평균 열량
10) 총합열전달 계수
11) 열효율
7. 결론 및 고찰
8. 특이 관찰 사항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ε =
* 총열전달계수
유체간의 평균온도차(대수평균온도차)를Δtm이라고 하면 교환열량q는 다음식으로 정의된다.
열저항을 고려하여 총합열전달 계수를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가운데 항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양을 가지므로 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열량 Parallel flow가 Counter flow 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그것은 Parallel flow에서 Q에 영향을 미치는 T가 더 크기 때문이다.
실험결과 총합열전달 계수는 489.16~959.22[kcal/㎥hr ]범위 였다.
그래프를 보면 저온, 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과 냉수가 얻은 열량은 다음과 같다.
온수가 잃은 열량(입력) = QhρhCph × ( Thi - Tho ) [ W ]
냉수가 얻은 열량(출력) = QcρcCpc × ( Tco - Tci ) [ W ]
동력 손실 = 온수가 잃은 열량 - 냉수가 얻은 열량 [ W ]
[ % ]
이중관 열교환기의 총합열전달계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