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영화산업의 역사와 변화
1. 최초의 영화상영부터 무성영화흥행기까지
2. [1919-1935] 한국영화의 초창기
1) 연쇄극의 등장- <의리적 구투>
2) 최초의 한국영화- <월하의 맹세>
3) 나운규와 <아리랑>
3. [1935~1945] 발성영화 등장과 일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의 형식을 모방했다는 한계점을 극복하지는 못했다. 일본에서 신파영화의 유행과 경향영화의 유행을 그대로 따랐음이 그것을 증명한다. 하지만 일본의 시대극만큼은 한국에서 발달하지 못했다. 또한 최초의 토키작품은 일본보다 다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관 급격한 증가
주요 대도시로의 확산
한국인이 만든 최초의 영화
1919.10.27 연쇄극 “의리적 구투”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1919.10.27 “경성전시의 경”
■한국 최초의 극영화
1923년 윤백남 감독의 “월하의 맹세”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의 대중화에 기여, 대중잡지"예원"발간.
** 무성영화의 시작**
9. 춘사 나운규
- 엑스트라 가마꾼 첫 등장-「운영전」(25), 심봉사의 노역도 함. 함경도 출신
- 핵심-리얼리즘을 통한 민족정신 고취
- 「아리랑」(26)주연, 각본, 감독, 한국영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인 윤백남의 “월하의 맹세” 발표
→조선총독부의 저축장려계몽영화였으나 한국인 감독과 배역에 의한 최초의 극영화
• 1924년 민족자본에 의한 박승필의 “장화홍련전” 제작
≪ 사 진 ≫ ≪ 사 진 ≫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5.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