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분성 효과가 약해지고 EPSP가 작아져 서 연접이후 신경원이 역치전압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억제작용 신경계의 구조
1. 중추 신경계
2. 말초 신경계
신경원
1. 뉴런(Neuron)
2. 축색돌기(Axon)
3. Synaps
4. 안정막 전위
5. 연접 전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n)은 축색돌기(axon), 몸체(cell body), 그리고 수상동기(dendrite)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특화된 세포이다. 수상돌기는 자극을 받아 몸체 쪽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몸체 부분에는 신경원내 대부분의 세포질과 핵이 존재한다. 축색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그림입니다. 맞은편 세포와는 좁은 틈으로 떨어져 있는데 이것을 시냅스라고 부릅니다. 축색돌기의 끝에 충격이 전달되면 신경전달 물질이 방출되어 맞은편 수상돌기(축색돌기가 아님)의 이온통로의 닫힌 문에 붙어서 문을 열게 됩니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자를 시냅스후신경섬유라한다. 이 둘 사이에 구조적 연결이 없으며 시냅스틉이라는 약 20nm정도의 체액으로 충만된 간격이 있다. 축색돌기 말단에는 약간 팽창된 시냅스혹이라는 미세한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이 있으며 각 소포 속에는 화학
인체 근육, 신체 허파, [인체(신체), 근육, 허파, 뼈, 호르몬]인체(신체)의 구성, 인체(신체)의 근육, 인체(신체)의 허파, 인체(신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없다는 의견도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첫 번째 이유로,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화학 물질이 아닌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중추신경계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이는 뉴런이 각각 떨어져 있는 단위가 아닌,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