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직의 분류
Ⅰ. 조직(tissue)의 개념 및 유형
1.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가) 상피조직의 유형
나) 상피란?
다) 기저막(basement membrance)이란?
2.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가) 성긴 섬유상조직과 치밀 섬유상조직(Loose Fibrous and Dense Fibrous Tissues)
나) 지방조직과 망상결합조직(Adipose Tissue and Reticular Connective Tissue)
3. 근육조직(Muscular Tissue)
가) 골격근(skeletal muscle) = 수의근이라고도 불림
나) 평활근(smooth muscle, visceral muscle)
다) 심장근(cardiac muscle)
4. 신경조직(Nervous Tissue)
가) 신경교세포(Neuroglia)
Ⅰ. 조직(tissue)의 개념 및 유형
1.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가) 상피조직의 유형
나) 상피란?
다) 기저막(basement membrance)이란?
2.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가) 성긴 섬유상조직과 치밀 섬유상조직(Loose Fibrous and Dense Fibrous Tissues)
나) 지방조직과 망상결합조직(Adipose Tissue and Reticular Connective Tissue)
3. 근육조직(Muscular Tissue)
가) 골격근(skeletal muscle) = 수의근이라고도 불림
나) 평활근(smooth muscle, visceral muscle)
다) 심장근(cardiac muscle)
4. 신경조직(Nervous Tissue)
가) 신경교세포(Neuroglia)
본문내용
on)은 축색돌기(axon), 몸체(cell body), 그리고 수상동기(dendrite)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특화된 세포이다. 수상돌기는 자극을 받아 몸체 쪽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몸체 부분에는 신경원내 대부분의 세포질과 핵이 존재한다. 축색돌기는 주로 몸체에서 오는 신경계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긴 축색돌기는 흰색 지질로 이루어진 미엘린(myelin)으로 싸여 있다. 섬유(fiber)라는 용어는 축색돌기와 그 주변을 싸는 미엘린층까지를 포함하는 말이다. 뇌와 척수의 외부에서 연결조직에 붙은 이 섬유는 신경(nerve)을 이룬다.
신경계는 감각수용, 정보통합 그리고 그에 따른 행동의 3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신경은 감각기관으로부터 정보의 통합이 이루어지는 뇌와 척수로 자극을 전달한다. 그러나 감각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오직 뇌에서만 일어난다. 신경은 또한 뇌와 척수에서부터 근육과 분비선들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축과 분비를 일으키게 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자극에 대한 종합적인 반응이 이런 식으로 이루어진다. 신경원 외에도, 신경조직에는 신경교세포(neuroglial cell)가 있다.
가) 신경교세포(Neuroglia)
뇌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신경교세포가 있다. 뇌 내에서 이 교세포들의 기능을 알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신경교(신경아교, neuroglia)는 신경원보다 9배나 많이 존재하고, 뇌 전체 부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단순히 신경원을 지탱하며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만 생각되어졌다. 신경교세포의 종류에는 회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 소교세포(microglial), 성상세포(astrocrte)가 있다. 희돌기교세포는 미엘린을 혈성하고, 소교세포는 신경원을 지지함과 아울러 세균이나 세포의 잔해를 소화한다. 성상세포는 신경원에 영양을 공급하며, 교세포 유도 성장인자(glia-derived growth factor)라고 불리는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이 호르몬은 파킨스 병이나 신경원의 퇴하에 의해 생기는 다른 질병들의 치료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경교세포는 돌기가 없지만 연구자들은 이들이 교세포 상호간 또는 신경원과 상호작용한다는 증거들을 점차 확보하고 있다.
<신경원이라 불리는 신경세포들은 축색돌기와 수상돌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경교세포들은 신경원을 지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
신경계는 감각수용, 정보통합 그리고 그에 따른 행동의 3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신경은 감각기관으로부터 정보의 통합이 이루어지는 뇌와 척수로 자극을 전달한다. 그러나 감각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오직 뇌에서만 일어난다. 신경은 또한 뇌와 척수에서부터 근육과 분비선들로 신호를 전달하여, 수축과 분비를 일으키게 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자극에 대한 종합적인 반응이 이런 식으로 이루어진다. 신경원 외에도, 신경조직에는 신경교세포(neuroglial cell)가 있다.
가) 신경교세포(Neuroglia)
뇌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신경교세포가 있다. 뇌 내에서 이 교세포들의 기능을 알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신경교(신경아교, neuroglia)는 신경원보다 9배나 많이 존재하고, 뇌 전체 부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단순히 신경원을 지탱하며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만 생각되어졌다. 신경교세포의 종류에는 회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 소교세포(microglial), 성상세포(astrocrte)가 있다. 희돌기교세포는 미엘린을 혈성하고, 소교세포는 신경원을 지지함과 아울러 세균이나 세포의 잔해를 소화한다. 성상세포는 신경원에 영양을 공급하며, 교세포 유도 성장인자(glia-derived growth factor)라고 불리는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이 호르몬은 파킨스 병이나 신경원의 퇴하에 의해 생기는 다른 질병들의 치료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경교세포는 돌기가 없지만 연구자들은 이들이 교세포 상호간 또는 신경원과 상호작용한다는 증거들을 점차 확보하고 있다.
<신경원이라 불리는 신경세포들은 축색돌기와 수상돌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경교세포들은 신경원을 지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
추천자료
산업정책의 의의 및 분류와 유형
공기업 종류의 분류방법
민담의 종류, 분류기준에 대해서★
효소의 정의, 성질, 분류와 식품과 관련있는 효소 조사하기
교육과정 이론 분류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
음료가공 - 음료의 역사와 정의 및 분류 & 발효주, 증류주, 혼성주 (약주와 탁주(막걸리)...
감염 (정의와 분류, 발생단계, 발병기전)
폐렴, 폐렴정의, 폐렴분류, 폐렴병태생리, 폐렴빈도, 폐렴위험요인, 폐렴증상, 폐렴치료, 폐...
[비만예방] 비만의 정의와 분류, 비만의 원인과 증상, 비만판정법(비만판정방법)
[무기질] 무기질의 분류(종류)와 기능, 올바른 무기질 섭취방법
암의 증상, 진단검사, 분류와 단계, 예방
화성암의 깊이에 따른 분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