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의 종류, 분류기준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담의 종류, 분류기준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담의 성격과 자료적 특성
1. 1. 일반적 성격
1. 2. 자료의 분류적 특성과 연구

2. 한국 민담의 종류 - 분류기준
2. 1. 韓國口碑文學大系의 분류
2. 2 全國民俗資料分類의 민담분류
2. 3. Aarne-Thompson의 민담 분류
2. 3. 1. 동물민담
2. 3. 2. 보통[본격]민담
2. 3. 3. 笑話
2. 3. 4. 기타 분류
2. 4. 신동흔의 민담 유형
2. 4. 1. 幻想的 民譚
2. 4. 2. 喜劇的 民譚
2. 4. 3. 寫實的 民譚
2. 5. 내용·주제적 측면에서 분류한 민담
2. 5. 1. 계급모순을 반영한 민담
2. 5. 2. 인정세태를 반영한 민담
2. 5. 3. 가정생활민담
2. 5. 4. 생산노동민담
2. 5. 5. 사랑민담

본문내용

반영한 민담
사회인륜관을 주제로 한 생활세태민담의 한 부류로, 서민들 내부의 인륜관계가 반영된다. 의협심이 강하고 의를 중히 여기며 자기 미덕으로 상대방을 감화시키는 고상한 품덕의 주인공들을 찬양하는데, 서민들 내부의 실제 있었거나 있을 수 있는 사실이 제기되고 환상적 수법이 기본상 쓰이지 않으며 현실성이 굉장히 강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벗 사이의 우정, 이웃간의 관계 등에서 드러나는 미덕이 이야기 전반에 드러난다. 반면 인간성을 잃고 친구나 이웃, 손님을 해치는 패덕적 인간이 응징을 당하는 식의 이야기도 많다. 이는 서민의 선명한 도덕적 표준을 드러내주는 것이다. 특성상 주로 인간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더 넓은 사회무대를 통해 당대사회의 면모를 함께 보여주게 된다.
2. 5. 3. 가정생활민담
가정내부의 人倫關係를 소재로 한 이야기다. 민간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작용, 현실적인 교양적 가치가 높은 설화의 작품들이다. 서민들은 이런 작품들에서 효성이 지극한 아들딸과 며느리들을 자기 생활에서의 본보기로, 그들의 미담을 전승시켰다. 수적으로 가장 많은 것이 효성담이다. 효자, 효녀, 효부들의 이야기는 그 사회의 전통적 미덕을 잘 보여준다. 이들 민담은 그 태반이 전설적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특징을 볼 수 있는데, 근거 있는 전설이 전승되면서 고장과 인물 성명이 모호해지고 결국에는 민담으로 정착된 것이다. 그 외에도 형제의 우애나 갈등을 다룬 이야기, 한 가족의 화목함을 불우한 가족과 비견하는 식의 이야기도 다수 존재한다. 이들 민담은 맹목적 순종자라기보다는 응당한 의무와 미덕으로 효성과 우애를 지켜 가족간 화목을 우선하는, 봉건가정에서의 서민의 가족관계를 잘 그려내고 있다.
2. 5. 4. 생산노동민담
생업을 반드시 지니고 살아가는 서민의 주요 실천활동으로, 사냥꾼의 이야기, 목수나 冶匠 등 장인이 자신들의 생업과 관계하여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다. 家業을 잇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전해지는 교훈을 다루는 이야기도 많다.
2. 5. 5. 사랑민담
청년들의 사랑의 자유, 혼인의 자주적 권리를 이루려는 염원을 반영한 이야기들이다. 엄격한 門閥, 신분제나 예의범절의 허위가 이들을 구속하는 식의 이야기가 다수다. 이들 이야기는 각국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굳어져 사회 의식적 성격을 띄고 사람들에게 回刺되며, 주인공들은 그 사회에서 주어진 조건이 만드는 현저한 貧富差문벌차에 시달린다. 서민들은 이들을 지원하고 동정한다. 이런 식의 이야기는, 때로는 사랑이야기만이 아니라 인물들이 움직이는 사회 구조와 맞물려 더욱 광범한 사회적 의의를 갖기도 한다. 민담 창조자들은 이들을 가로막는 자들의 죄악적 사실, 도덕적인 면을 폭로하기도 하고 결말에 가서 그 비극을 빚어낸 장본인 - 양반계급을 위시한 - 들의 末路를 불행하게 만들어버린다. 비극적 결말에 傳說的 偶然이 加添되기도 하는데, 민담을 이끄는 애정 자체에 동반되는 사항이 아니므로 전설이라고 보지 않고 민담 범주에 넣는다.
참고문헌(교재는 생략)
김열규 외, 민담학개론, 서울 : 일조각, 1982.
Propp, Vladimir, 민담형태론, 황인덕(역), 서울: 大邦出版社, 1987.
고려대학교 민족연구원(편), 한국민속의세계, 7. 설화민속언어, 서울 : 고려대학교 민족연구원, 2001.
김선풍 외, 한국민간문학개설, 서울 : 국학자료원, 1992.
이두현 외, 韓國民俗學槪說, 서울 : 學硏社, 1986.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편),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 1999.
http://myhome.netsgo.com/ouroboros/구비문학의세계/구비문학/민담/민담론/민담의%20분류.htm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3.1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