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전] \'論語(논어)\' - 陽貨篇(양화편), \'漢書(한서)\' - 藝文志(예문지)
\'荀子(순자)\' - 權學篇(권학편)
[내용1]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 것[道聽塗說]\'은 덕을 버리는 것과 같다[德之棄也].
길거리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간직하여
|
- 페이지 9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ㅈ~ㅊ)
자포자기(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전긍긍(戰戰兢兢)
戰:무서워 떨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사성어의 대부분이 춘추 전국 시대에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고사성어를 통해서 우리는 그 시대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을 알 수 있었으며, 덧붙여 우리가 늘상 사용하는 고사성어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봄으로써 고사성어에 대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1.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양한문
-고사성어 [차]-
◈借鷄騎還(차계기환)◈
借:빌 차, 鷄:닭 계, 騎:탈 기, 還:돌아올 환 [출전]太平閑話滑稽傳(태평한화골계전)
닭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 손님을 박대하는 것을 비꼬는 데 인용하는 말이다.
김 선생은 담소를 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
1. 로마로부터의 유래설
2. 네달란드 유래설
Ⅱ. 골프의 역사
1. 고대의 골프
2. 초창기의 골프
3. 현대의 골프
4. 한국의 골프 역사
5. 한국 최초의 골프 코스
6. 미국의 골프
7. 세계적인 경기로의 발전
8. 골프 클럽과 골프볼의 역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