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명한 바에 따르면, 친제와 어제 중 아무래도 친제 쪽에 더 무게를 두고자하는 것이 개인적 생각인데,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았을 때, 訓民正音 창제 시 기록에 世宗만이 作成者로 記錄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친제설의 근거
최만리의 상소 자체에서도 증명되는 데, \"이번 언문은 새롭고 기이한 한가지 재주에 지나지 못하는 것으로 학문에 방해됨이 있고 정치에 유익함이 없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옳은 것이 없습니다.\"라고 \'언문\'의 창제는 신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해
Ⅲ. 훈민정음에 대하여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해
Ⅳ.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 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은 세종대왕의 친제설을 정설로 받아들이는 국어학계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만약 조박사의 주장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국어사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전자를 믿고 싶다.
7. 그밖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은 세종대왕의 친제설을 정설로 받아들이는 국어학계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만약 조박사의 주장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국어사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전자를 믿고 싶다.
7. 그밖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