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34건

타악기이다. 24cm 정도 높이의 조그만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대나무 채로 친다. 채는 손잡이 부분을 제외한 아랫쪽이 아홉 가닥으로 갈라져 있으며 연주자는 이 채로 부의 가장자리를 친다. 세종 1. 타악기의 역사 2. 타악기의 종류 (1) 서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1. 타악기란? 2. 유율악기 1)팀파티 2)실로폰 3)차임(Chime) 4)비브라폰(Vibraphone) 3. 무율악기 1)큰북(Bass Drum) 2)작은 북(Side Drum) 3)심벌즈(Cymbals) 4)트라이앵글(Triangle) 5)탬버린(Tambourine) 6)캐스터네츠(Castanets) 7)탐탐(Tam-Tam)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때려서 소리낸다. 금(金)-쇠붙이 놋접시 모양으로 된 10개의 작은 징을 틀에 매달아 만든다. 작은 징의 지름 11cm이다. (개량 운라의 지름은 10.4cm이다. 개량 운라는 작은 징이 17개이다.) 취타(吹打)에 사용한다.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타악기 Schlaginstrument(D), Instrument a Percussion(F). 두드리거나 흔드는 것으로써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으로, 가장 단순한 구조로 되어있으나 종류가 매우다양하다. 송아지 가죽 같이 팽창된 물체를 진동시키거나, 금속, 나무와 같은 재질의 소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1.23
  • 파일종류 기타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생각임을 말씀드린다. 머리말 1. 과제선정의 이유 1) 민속의 정의 2) 한국의 민속악기 몸말 1. 관악기 1) 대금, 중금, 소금 2) 단소 3) 피리 2. 현악기 1) 가야금 2) 거문고 3) 아쟁 4) 해금 5) 양금 3. 타악기 1)사물 2) 북 맺음말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