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기간을 절대불응기라고 하며 이에 이어 불응기, 즉 역치자극에서는 활동전위를 발생하지 않으며 역치상자극을 가하면 활동전위가 발생하는 시기를 상대불응기라고 한다. 1. 흥분전도
2. 자극의 강도와 시간
1) 실무율
2) 불응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큰 자극이 주어지면 활동전압이 생길 수는 있으나 그 크기와 수축력이 정상보다 작게 나타난다.
(6)실무율 (All or none principle)
역치 이하의 자극에는 반응을 하지 않으며 역치 이상의 자극에는 최대한 동일한 반응을 나타낸다.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8.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전달과 운동단위
활주론) 1.신경자극
2.안정시 막전위
3.탈분극과 과분극
4.점증전위
5.활동전위
6.역치와 실무율(all - or - none)의 원리
7.신경근 접합
8.신경절달물질
9.활동 전위와 진행 과정
10.운동단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치 이상의 자극이라 하더라도 그 흥분이 중추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냅스 중 일부는 시냅스 전 뉴런의 말단과 시냅스 후 뉴런의 막이 거의 연접되어 있는 형태가 있는데, 이때 시냅스 전 뉴런의 탈분극 전류가 직접 시냅스 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분극 발생
역치전압이 2차 EPSP의 가중에 의해 -55mV가 되면 활동전압 유발
(2)억제성 연접후 전압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
신경원 막전위가 과분극
연접이후막의 투과성 증대로 K+는 세포밖으로, Cl-는 세포안으로 이동시켜 연접이후막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