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말단부의 탈분극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방출”, 경북대, 2007 Ⅰ 서론
Ⅱ 본론
1.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도파민, 테스토스테론과 옥시토신 설명
1) 도파민
2) 세로토닌
3) 테스토스테론
4) 옥시토신
2. 본인의 몸 안에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지배 : 운동신경이 분포하여 뇌와 척수의 흥분을 전달받아 반응
이와 같이 근에 운동신경이 분포하는 것
♡ 신경근연접
♬ 자극→ 신경섬유흥분→ 전도→ 신경종말형성→ 종판형성→ 아세틸콜린분비(소포)→ 탈분극→ 전달
♥ 소포 : 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달물질을 담은 소포가 축삭막과 융합-> 세포외 유출을 통해 신경물질들이 시냅스 후 막 즉 다음뉴런으로 전달됨.
(cf)
EPSP: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후막의 이온채널을 열어 생성되는 탈분극
IPSP :시냅스 후막이 더욱 음성화되어 일어나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달되는 과정은 매우 빨리 일어나므로 축삭을 따라 전파되는 신경임펄스의 속도와 큰 차이가 없다.
신경전달물질이 유리된 후 시냅스이전부분의 칼슘 채널은 곧 닫히게 되며 세포질 내에 남아있던 칼슘 이온은 칼슘 펌프(calcium pump)에 의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극 시키고 결국 활동전위가 유발된다. 이와 같은 막의 변화(탈분극)를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라 하며 약 15 msec 정도 지속된다.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이 수용기와 결합하여 칼륨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