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은 유일하게 하회탈 중에 입 아래 부분이 없다. 이에 이매탈은 전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보 탈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미완성을 추구하는 탈이다.)
<사진 8> 특별등장- 이매와 초랭이
6) 잘난척하다 웃음거리만 된 양반선비마당
파계승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회탈 가운데 얼굴이 약간 비뚤어져 있다. 움직일 때, 코가 바르게 세우면 머리가 왼쪽으로 틀어지며 머리를 세우며 코가 왼쪽으로 치우쳐진다.
각시탈
얼굴 표정은 대체로 무겁고 조용한 분위기이다. 눈은 아래로 살포시 내려 깔고 있으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웃고 탈 쓴 광대가 화를 내면 탈도 따라 화낸다\"라는 말이 마을에서 전해져 내려온다. 그 밖에도 선의 흐름과 면의 각도에 따라 표정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한편 하회탈은 마을에서 매우 신성하게 여겨, 탈을 함부로 다루게 되면 \"탈 난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회탈춤의 복식은 다른 탈춤의 경우와는 달리 미리 마련되어 있는 옷을 입는 것이 아니라 별신굿의 치러질 때마다 당시 장만할 수 있는 평소의 복장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1928년 당시에도 중광대는 승복을 구할 수 없어서 평상복을 입고 중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회탈을 만들었다는 전설적 주인공인 허도령이갑작스런 죽음으로 인하여 미완품이 되었다고 전한다.
한편 1980년 하회 별신국 탈놀이의 \'주지탈\' 2점이 국보로 추가되었다. 현재 하회, 병산탈은 국립 중앙박물관에 보관되고 있으며, \'하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