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요한 인식은 우리의 퇴계學에 대한 연구에 있어 융통할 바를 알게 할 뿐 아니라 동시에 우리가 현대문화의 건설에 있어서 정확한 방향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176-
(김 언 종 譯) Ⅰ. 개 설
Ⅱ. 퇴계리기론중의 당연지리에
관한 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과의 만남
2) 제자 김장생-송시열
3. 주요 사건
1) 시대 상황
2) 일대기
4. 사후 평가
1) 왜란 전,후의『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비교
2)『율곡전서』
3) 시호와 문묘 배향
2. 성리학으로 본 이이의 사상
1. 태극음양론
2. 리기론
3. 사단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기론
3. 사단칠정론
4. 심성론
3. 이이의 경세사상
1. 시대적 배경과 이이의 역사인식
2. 이이의 경세론
(1) 이이 경세론의 철학적 기초 - 무실(務實)
(2) 정치 개혁론
(3) 경제개혁론
(4) 국방 개혁론
4. 사후 평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 여하가 일정치 않다. 그것은 마치 기의 특성만이 인정되는 경우와 같다. 그러므로 칠정은 기의 발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퇴계는 소종래의 다름에 대한 고봉의 반론을 참작하여 또 다시 수정론을 내 놓는다. 사단은 이가 발함에 기가 따르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요시 하고 「대학」의 조목 가운데서 성의가 중심이라 한데 반하여 퇴계는 주자의 해석에 따라서 도문학을 중요시하고 격물치지를 팔조목의 근본이라 반대하였다. 중용의 사는 존덕성과 통하고 학은 도문학과 통하여서 사와 존덕성을 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