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정하여 사단의 발은 순리이기 때문에 선하지 않음이 없고, 칠정의 발은 겸하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사단지발순리고무불선 칠정지발겸기고유선악)라고 제시하면서 고봉에게 의견을 묻는 편지를 보냈던 것이 8년에 걸친 퇴계와 고봉 사이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는 물질적인 법칙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인 본구의 이성능력의 소산인 도덕규범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왕양명이 존덕성을 중요시 하고 「대학」의 조목 가운데서 성의가 중심이라 한데 반하여 퇴계는 주자의 해석에 따라서 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은 한 마음의 주재로서 진리 인식의 방법이고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막는 수양의 첩경이다. 경은 이황의 성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Ⅴ.맺음말
이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라도 살아있을 때 지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아들이 따르기 어려우므로 일정한 제물만을 쓰게 하였으며, 진설도에 있더라도 철이 아니면 다 구해 쓰지 못하므로 세 가지 철에 맞는 과일로써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② 뛰어난 인격자
퇴계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식 공부만 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국가 고시 개편안을 보면서 떠오른 또 한가지 생각은 10여년 전 어느 정치학자의 시론이다. 그는 사법고시에 과학사(科學史)를 교양필수 과목으로 넣자고 신문 칼럼에 쓴 적이 있었다. 그런 생각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