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기론은 임성주(任聖周)의 \'성즉기\'(性卽氣)의 명제로까지 발전하게 되는데, 임성주의 사상은 기일원론, 곧 유기론(唯氣論)이라는 점에서 주기론과는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1. 퇴계와 율곡의 생애
2. 사단칠정과 이기론
3. 주리론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있는데 주기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퇴계 이황이 거의 철저한 주리론자라면 이 율곡의 학설은 주리설과 주기설의 중간 지점에서 약간 주기설 쪽에 기까운 감이 있는 것입니다. 서화담(서경덕)은 주기론에서 더 극단적으로 나아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기설(主氣說)을 확립시켰으며 그 학설은 김장생(金長生) ·이귀(李貴) ·조헌(趙憲) 등을 거쳐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등에게 이어졌다. 이황의 학통은 이상정(李象靖) ·이진상(李震相) 등이 적극 발전시켰으며, 송시열의 문인 권상하(權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일 뿐 아니라. 본연지성을 회복시키는 것이요, 본연지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한편 율곡은 서경덕이 주기론에 대해서는 ‘리통기국설’을 퇴계의 리기이원적 경향에 1. 이기론
2. 사칠론
3. 수양론과 궁리론
◆ 과제를 마치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기론, 주리론이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은 오로지 퇴계의 사단칠정론 이후의 일이다. 그리고 그 중의 주리론은 퇴계로 말미암아 완전히 사림파의 철학이 되어, 정통 철학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퇴계의 사칠설은 당시에 학계의 관심을 집중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