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격하던 치 위의 시설을 한자로 적어 보세요. 砲樓
21. 성안의 공심돈은 어떤 지형에 설치하나요? 사방을 경계할 수 있도록 사방이 트인 지역
22. 봉돈이란 무엇인가요? 봉화시설
23. 전시에는 사방을 감시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평상시에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자
해미읍성 북동쪽 모습
사진 27 - 해미읍성의 해자
2 - 4 - 3 해미읍성의 호(好)
1) 해미읍성의 타원형 축성
- 한국의 성 대부분은 산에 쌓은 산성이거나 강을 끼고 건축되었다. 그러나 해미읍성은
평지에 타원형으로 지은 것이 특징이고, 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성을 사이에 둔 야트막한 산을 끼고 있는 흙으로 쌓은 성곽이다. 백제고도문화유적 복원계획에 따라 토성을 보수하고 성안의 유적들을 복원하였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수많은 백제고분과 고성이 분포하고 있어 북쪽으로부터 침략에 대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성뿐 아니라 읍성의 중요도가 커지고 옹성·해자·적대(敵臺)등이 필수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성종대에 이르러서 전략적으로 변화가 왔다. 일단 상륙한 외적을 수륙 양면으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런 전략을 위해 연해 진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성의 구조를 야트막한 야산이나 구릉에 옮겨놓은 듯한 모습을 보이며 중국이나 일본처럼 방형의 성이 아니라 야산이나 구릉을 따라 짓기 때문에 포곡형의 보습을 띄며 인공 해자를 파지 않고서도 충분한 성벽높이를 확보 할 수 있다. 방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