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생접사로서 어휘부에서 통사과정과 무관하게 신조어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경우 접미사로 쓰이는 ‘-’는 통사과정에서 쓰이는 ‘-’와 의미, 기능, 제약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우리는 15세기에 주로 형용사를 어기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 어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형용사 합성어의 예들이다.
(6)잘-나다, 못-나다, 막-되다, 덜-되다, 못-생기다, 잘-생기다, 더-하다, 못-하다, 덜-하다.
(7)가만-있다, 다시-없다.
(6)에서 나- 되- 하- 등은 2.1.2에서 파생 접미사로도 다루었으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 어미의 결정에 관여한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명사구의 내부구조도 “관사 + (형용사 + 명사)”가 아니라 “(관사 + 형용사) + 명사”로 가정했다.
참고문헌
김창섭(1984), 형용사 파생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진단학보 58
김창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생형용사
1. 어기와 그 성격
명사를 어기로 하여 파생형용사를 형성하는 접미사에는 -답-, -롭-, -되-, -스럽-, -젓-, -지- 등이 있고 -갑/겁- 등도 부분적으로 명사를 어기로 취한다. 어기인 명사중에 [+상태성]의 의미 자질을 갖는 명사가 대다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와 \'화초가 잘 큰다\'에서의 \'크다\'(동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대국어에서 발견되는 영변화 파생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동사(어간)/명사: 되-/되, 띠-/띠, 빗-/빗, 신-/신, 품-/품
명사/부사: 잘못, 오늘, 여기
형용사/동사: 크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