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1건

고신라에 속하며, 현재 남아 있는 남산의 불상 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 *포석정 *보리사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 약사여래좌상(藥師如來坐像) *보리사 마애여래좌상 *부처골(佛谷) 감실석조여래좌상(龕室石造如來坐像)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포석정이 위치한 포석골 남쪽의 선방골 입구 보호각 속에 있다.그외 윤을골의 마애삼체불좌성, 장창골의 삼존불 불골의 여래좌상 탑골의 2개의 마애조상군이 있다. 남산은 신라 불상의 보고이자 신라 조각의 산실이었다, 그것은 남산이 작게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마애불이다. 바위면에 불상 이른바 불교상을 새긴 것을 마애불이라 하는데 벌 Ⅰ. 서론 Ⅱ. 마애불의 의의와 종류 Ⅳ. 고려시대의 마애불 1. 불상의 특징 2. 마애불의 현상 3. 해운사 북미륵암여래좌상 4.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마애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佛立像) 고려11세기> 14.<안동이천동마애불상(安東泥川洞磨崖佛像) 고려11세기로 추정> 15.<덕주사 마애불상(德周寺 磨崖佛像) 고려10세기> 16.<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北漢山 舊基里 磨崖釋迦如來坐像)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길잡이 15 : 서울, 돌베개 - 권동희, 2012, 한국의 지형, 한울 서론 1. 북한산의 고려시대 불상  (1)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2) 구기동 마애석가여래좌상  (3)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상 2. 북한산의 고려시대 사찰 : 진관사 결론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