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이) [꼬치] (꽃을) [꼬츨] (꽃에) [꼬체]
(2) [꼰] ―(꽃나무) [꼰나무] (꽃놀이) [꼰노리] (꽃망울) [꼰망울]
(3) [ ● 한글 맞춤법 규정 중, 띄어쓰기 규정
● 띄어쓰기 예문과 분석
<예문>
<분석>
1. 표준어와 방언
2. 한글 맞춤법
퀴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
(2) 북한의 문화어
3. 맞춤법의 차이
(1) 자모의 명칭과 순서
(2) 두음법칙
(3) "폐"는 "페"로
(4) "어"와 "여"
(5) 사이시옷에 관련된 표기
(6) 어미류의 차이
(7) 기타 차이들
4. 띄어쓰기의 차이
(1) 하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맞춤법에서는 줄표라 하여 붙임표(-)보다 긴 부호(―)를 사용하고 있는데, 줄표에 이은 짧은줄표의 선택은 사용상 일관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짧은줄표의 사용에 있어서 이름 사이에 이를 사용하는 규정은 불필요한 것으로 보여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Ⅱ. 본론
1. 남한과 북한의 언어정책
2.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
(1) 맞춤법의 차이
(2) 띄어쓰기의 비교
3. 남북한 언어의 이질성
(1) 생소한 어휘들
(2) 풀이가 다른 낱말의 예
(3) 방언에 의한 어휘
(4) 고유어화 된 어휘들
Ⅲ. 결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이 없었다면’, 일제 강점기 때 급속히 퍼진 일본어 보급으로 하마터면 우리말을 잃을 뻔할 위기에 처했을 수도 있다. 우리말을 쓰는 계층이 점점 줄어서 지금의 제주도 방언이 극히 소수만 남아있는 경우와 같이 언어사멸의 위험에 빠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