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가슴에는 푸른 강물이 흐른다.
국어의 품사 중에서 형태가 변하는 것은 용언인 동사,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이다)뿐이다. ‘보면’‘흐른다’는 동사, ‘맑은’‘푸르다’는 형용사이다.
맑다, 보다, 푸르다, 흐르다 문제1~25번
정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술격 조사의 다른 이름 ①지정사
②접 사(용언화 접사 ‘이다’의 ‘이’)
(=※지정사 설정 논란 ⇒ 지정사 설정하라!)
개념
서술격 조사 ‘이다’
논 란
특성
같은 점
다른 점
격조사의 성격O - 체언과 결합
활용O(시제 표시)
①9품사+3품사=12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의 두 단어가 결합된 것이다.
[품사] ★
다음 중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는? ⑤
①이다② 많다③아름답다
④좋다⑤해바라기
형태가 변하는 단어는 서술격 조사인 ‘이다’와 동사, 형용사이다.
[품사] ★
다음 문장의 밑줄 그은 단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다\'이기에, 기회가 된다면 더 많은 문법적 지식을 공부하여 \'이다\'에 대한 연구에 재도전해 보고 싶다.
참고문헌
노종두 안효경(1998),「\'이다\'의 품사적 속성에 대하여」, 산업개발연구, 공주대학교 산업 개발연구소.
이건수(2002),「\'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다’의 구성과 쟁점, 언어학 제22호, 한국언어학회.
임홍빈(2005), 우리말에 대한 성찰1, 태학사.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이다’에 대한 여러 의견
2. 서술격 조사
1) 조사
2) 서술어로서의 격 조사
3. 지정사설 (용언설 중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