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집, 청람어문교육학회.
최현배 (1957),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이관규 (2007),『학교문법론』, 월인. Ⅰ. 서론
Ⅱ. 연구사 검토
Ⅲ. ‘이다’를 무엇으로 볼 것인가?
1. ‘이다’의 특성
2. ‘이다’의 범주 설정
Ⅳ. 결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주에서 하나씩, 세 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목정수, (), 기능동사‘이다’구성의 쟁점, 언어학, 제 22호, P. 245-286
심영민,() 서술격조사<이다>에 대하여, 목멱어문(창간호), P. 84-101
시정곤, ()‘이다’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9.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다.
이 문장을 다음과 같이 구조화 시킬 수 있다.
IP
SPEC I\'
vP I
KP v\'
철수가 NP v
N -이-
학생
(2가)는 ‘서술성’이 하나의 기능범주로 상정될 필요가 있고 ‘NP+“이”’가 서술어구를 형성함을 보여준다.
2.3 ‘이다’의 서술격 조사설
지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설보다는 용언설에 더욱 가까운 것 같은데 왜 학교문법에서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지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이다’의 문법범주 설정을 제1,2,3기로 나누어서 제1기에는 주시경 문법의 견해에 따른 종지사설로 보고 있고 제2기는 최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를 단어로 분류하는 잘못을 수정하고 굴절어미로 분류하였다.
이상으로 현행 학교문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기능에 따라 범주화하고 조사를 단어가 아닌 굴절어미로 분류하였다. 종합해보면 새로운 범주의 품사는 역할에 따라 주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