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리의 정의
대변내의 수분량이 증가하여 변이 묽어져서 액상, 반유동성의 대변상태가 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대변회수는 하루3회~주3회 정도까지는 정상범위로 볼 수도 있다. 환자의 포괄적 진단을 통해 치료할 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1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下利。腫膿。
1)治法: 下法
2)腹候: 결실이구련, 복만을 확인한다.
3)外證: 복통, 두통, 신체불인, 동통을 확인한다.
4)경향성:
• 방광용적의 저하로 인해 뇨가 축적될 수 있는 양이 적다.
• 외증의 신체불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多汗症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발한이나, 환자의 주관적인 발한과다호소를 다한증으로 본다.
청소년기에는 자율신경의 불안정으로 특히 긴장시의 발한으로 일상생활의 불편함과 더불어 심리적 위축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성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잠복 상역이 변하여 결흉이 되어서 자리가 된 것이 있고 대변이 막힌 환자가 있어서 약을 사용하면 하리하지 않는 환자가 있다.
宜結胸條의 灸臍法으로 以利之하라.
의결흉조의 구제법으로 이리지하라.
의당 결흉 조문의 배꼽을 뜸뜨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