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미노 연쇄에 있어서의 이 시점은 또 접촉의 단계라고 말하며 편향, 희석, 보강, 외면수정, 겨기, 장벽, 방호, 흡수, 차폐 등의 제원칙의 적용은 손실제어의 수단으로서 흔히 사용되는 대책의 예이다. 마지막으로 상해-손해-손실은 작업장소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하므로 예방이
불가능하다.
⑵ 기본원인의 발생을
제어하는 통제(관리)
가 중요하다.
사고의 원인이 되는 경 영 시스템의 관리기술적 실수는 감독자(manager)
와 직속상관(supervisor)
에 의한 운영실수에서 나오는데 결국 이러한 운영실수는 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리히, 버즈, 아담스, 웨버, 자베타키스의 도미노 연쇄이론들은 공통점을 가지면서 차별화된 특징들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하여 공통점은 모든 이론이 재해의 원인을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들었으며, 하인리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리히의 최초의 도미노 연쇄이론을, 버즈는 초기 통제 및 관리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최고경영자의 관리통제능력이 부족함이 재해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아담스는 전술적 에러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하인리히의 이론과 버즈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9.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쇄이론>
- 출처 : 한국산업안전공단 - 1. 하인리히(H. W. Heinrich)의 사고연쇄반응이론
2. 프랭크 버드 주니어(Frank Bird Jr.)의 사고연쇄반응이론
3. 에드워드 애덤스(Edward Adams)의 사고연쇄반응이론
4. 웨버(D. A. Weaver)의 사고연쇄반응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