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1
0. 발표를 시작 하기 앞서
1. 골품제(骨品制)란 무엇인가?
2. 골제(骨制)의 成立
3. 聖骨․眞骨로의 分化
4. 頭品制의 成立
5. 骨品制의 完成
part.2
6. 六頭品, 骨品制의 矛盾아래 억압된 그들
7. 骨品制의 영향
8. 新羅의 骨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조 신라의 골품제도
1. 골품제의 시각
7조 고구려의 행정조직
1. 삼국의 관등조직(표)
2. 삼국의 합좌제도
3. 신라의 귀족회의체
4. 백제의 귀족회의체
8조 삼국의 문화
1. 삼국은 통합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있었는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골품제 사회의 젊은이들에 대한 사회화 장치로서의 중요성도 있었지만 나아가 왕정을 유지하기 위한 인재의 양성기구로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13) 골품제 소멸원인
신라 왕국과 운명을 같이한 신분제로서 골품제의 붕괴원인을 볼 수 있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1, 풀빛, 1995
한국고대사학회, 『고구려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제 70회 정기발표회 기념 학술대회, 2002
3. 論 文
武田幸男, 魏志東夷傳에 나타난 下戶問題, 朝鮮史硏究會論文集3, 1967
김병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골품제 연구의 동향」 『한국고대의 국가와 사회』, 1985.
25) 이종욱, 앞의 책, 1980.
26) 이종욱, 「신라골품제의 기원」 『동방학지』 30, 1982;이종욱, 「신라 중고시대의 골품제」 『역사학보』 99·100, 1983.
27) 최재석, 『한국고대사회사연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