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5자를 의무교육기간인 9년 간에 걸쳐 모두 습득하도록 방침을 정해 놓고 있다.
<참고문헌>
1.南豊鉉. 「국어사를 위한 口訣硏究」 서울. 태학사. 2002 PP. 94∼106 - 구결과 토에 관한 개념
- 구역인왕경
- 일본문자에 대하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
○ 교육부(1998), 한문, 교련, 교양선택과목 교육과정·교육부(7차 교육과정 해설서)
○ 당산동 지도안 모임(2001), 현대시와 비교를 통한 한시 감상, 한문교육, 제 47호, 전국한문교사모임
○ 안병희(1976), 구결과 한문훈독에 대하여, 진단학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결, 향찰의 의미와 차이점 등을 예를 들어 자세히 알아보았다.
훈민정음 이전에는 차자 표기법, 문법 형태소 적기 등으로 한문을 차용하여 표기하였으며 이 중심에는 이두와 구결, 향찰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두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결 : 한문이란 중국 고대 언어를 표기한 문장이다.
- 한문을 적은 한자의 소리가 우리말 음운 체계에 이끌려 변화를 하고 나면, 이것은 중국어 소리와 다른, 중국어도 아니고 우리말도 아닌, 혼합된 형태의 새로운 문장어가 생겨난다.
⇒ 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을 읽는데 필요한 구결 정도로 겨우 명맥을 이어왔지만, 일본의 만요가나는 히라가나, 가타카나와 같은 문자가 만들어지는 토대가 되었다.
♤ 이두의 후기의 쓰임과 마찬가지로 가타가나도 초창기에는 문자라기보다는 한문 훈독의 보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