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족공동체 발전 전략-발표논문집』, pp. 13-32.
장준희. 1999. "카자흐스탄 고려사람의 민족정체성 변화과정 연구." 『재외한인연구』8호: 53-85.
최한우. 1996. "구소련 해체 후 중앙아시아 현상과 한인 정체성 문제."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08.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들과 700만 재외동포 등 한민족공동체의 성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공생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흐름에 맞는 것일 뿐 더러 한민족공동체 성원들의 공동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한민족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
Ⅷ. 재외동포의 현황과 지역별 현안
1. 재외동포현황
2. 각 지역별 현안
1) 중국
2) 일본
3) 미국
4) CIS
Ⅸ. 재외동포의 보호와 지원
1. 재외동포정책의 수립·시행
2. 재외동포 지원
3. 재외동포재단 활동
Ⅹ.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소고」『在外韓人硏究』9
한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9.『21세기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비젼과 전략』.
한상복, 권태환 1993.『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서울대학교
허련순 1996.『바람꽃』서울: 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모국과의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한 취지에서 해외 한민족의 이민과 정착의 역사, 민족 정체성, 한민족공동체의 가능성과 발전방안 등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