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차 공위
Ⅱ.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 한국 문제와 유엔의 역할
▪ 유엔에서의 한국문제의 고려
▪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활동과 한국 정치 지도자들의 노력
Ⅲ.두개의 한국 탄생과 한반도 분단의 고정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04.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반도 분단체제를 해체하기 위해 남과 북의 당국은 적대적인 대북, 대남 정책을 버리고 민족적 단합과 단결을 도모하는 정책을 추구해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남과 북은 대결과 대립으로 일관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6·15공동선언의 발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단고통과 통일전망의 역사 | 창비 | 2018년 12월
-정세현, 이종석, 박영자, 김동엽, 송민순, 김준형 (지은이) | 한반도 특강 -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 창비 | 2018년 10월
-브루스 커밍스 (지은이), 조행복 (옮긴이) |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 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표했다.
그리고 미국은 이에 앞서 8월 12일 한국의 신정부가 1947년 11월 14일자 유엔 총회의 결의에 의해 구성되었다는 성명과 더불어 이를 승인한다고 했다.
이렇게 남북한에는 두 개의 실질적인 정부가 수립됨으로써 한반도의 분단은 기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단비용과 통일비용, 한국개발연구원
김홍식(1989), 한국 통일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민주정의당(1982), 한반도 통일 정책과 구현방안 : 조국통일을 위한 책론보고서, 민주정의당
대통령 자문 21세기 위원회(1993), 2000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