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학입문]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2.PPT자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사학입문]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2.PPT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양사학입문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2


Ⅰ.모스크바 3상회의, 한국 신탁통치안, 미 .소 공동위원회
 ▪ 모스크바3상회의와 한국에 관한 합의
 ▪ 찬탁과 반탁
 ▪ 미,소공동위원회와 남북한의 정치상황
 ▪ 남북한의 상황
 ▪ 제2차 공위

Ⅱ.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 한국 문제와 유엔의 역할
 ▪ 유엔에서의 한국문제의 고려
 ▪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활동과 한국 정치 지도자들의 노력

Ⅲ.두개의 한국 탄생과 한반도 분단의 고정화

본문내용

동양사학입문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2




1. 모스크바3상회의와 한국에 관한 합의

 - 1945년 12월 16일 소련 수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영국·소련 3국의 외상회의이며 전후의 세계문제와 함꼐 한국에 대한 연합국의 신탁 통치의 구체적 방한 모색

미국 – 국무부 장관 번스

 - 한국에 통일행정부를 창설할 것을 제한

 - 통일행정부는 교역, 교통,통신 전기 배전, 석탄 운송, 난민문제 등 한국문제를 두 사령관에 의해 운영 되고 행정관 또는 양사령관의 고문으로 기용한다

 - 4대국이 가능한 빨리 신탁 통치협정아래 하나의 통일행정부를 설치하기 위해 토의에 착수할 것을 제한함

 - 탁지 기간은 5년, 1차에 한해 연장할 수 있으나 5년 이상은 안된 다는 것을 제시함

소련 – 외상 몰로토프

 - 한국인에 의한 임시정부의 수립과 과도적 임시정부의 수립에 관한 공동위원회의 창설 및 탁지 기간을 5년 한정으로 제의함

[이 결과로 12월 27일 `모스크바 협정’ 이 발표됨]




◎ 한국 문제에 관한 `모스크바 협정`이후 결과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음

 미소 양국 간 불화가 고조 됨

 미국의 지지세력인 우익진영의 격렬한 반대로 탁지안의 포기를 불가피하게 됨

 소련은 북에서 반탁운동을 억압, 좌익 세력으로 찬탁운동 전개를 하면서 모스크바 협정의 이행을 촉구하는 태도를 취함

추천자료

  • 가격8,4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36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