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시 쓰이던 현학의 용어로 불교의 용어를 해석함.
ex)bodhi-道 sunyata-空 nirvana-無待 등으로 표현을 바꿈.
쉽게 이해하기는 편했으나, 불교에서 말하는 의미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음.
-불교의 성장에 대해 유가 학자들이 위협을 느낌. 유가는 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들은 이름답게 아들다워야 한다.
-이름을 바로 세워야 한다. (이름에 걸맞는 실질을 세워야 한다.)
-명부정즉언불순 언불순즉사불성 사불성즉예악불흥 예악불흥순형벌불중 형벌부중즉민무착수족
->이름이 바르지 못하다면 말이 순조롭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니까?’
- ‘대체 大體(사단이 들어있는 마음)를 따르면 대인이 되고, 소체 小體(마음이 아닌 육체, 감각을 따르는 것)를 따르면 소인이 된다.’
‘귀와 눈 등의 감각기관은 사고를 하지 못하므로 외부의 물건과 접촉하게 되면 거기에 이끌리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도가의 유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도가는 어느 학파 간에 인위적, 문명, 문화추구를 거부
-知己不可而 爲知者(지기불가이 위지자: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리하는 사람)
→공자에 대한 평가
2.유가와 도가의 차이
유가는 인간과 인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식 문제: 승조의 철학이 아닌 것은?
보기: 조론, 부진공론, 물불천론, 반야무지론
정답: 조론
*물불천론
-정지와 변동에 대해 이야기함.
-인간은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내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자아동일성’이라는
개념을 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