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2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늘날 우리 지식과 행동의 원류는 무엇인가?

(2) 시대구분법

(3)

(4) 춘추전국시기와 제자백가

(5) 진시황의 통일국가와 사상통일

(6) 위진남북조와 수당오대

(7) 송명이학

(8) 청대 고증학과 근대성

(9) 근대와 현대

(10) 동서철학의 전개와 차이

본문내용

당시 쓰이던 현학의 용어로 불교의 용어를 해석함.
ex)bodhi-道 sunyata-空 nirvana-無待 등으로 표현을 바꿈.
쉽게 이해하기는 편했으나, 불교에서 말하는 의미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음.
-불교의 성장에 대해 유가 학자들이 위협을 느낌. 유가는 현실적인 학문이라 추상적인 것에 대한 탐구가 드물었음. 그러나 불교는 우주근원에 대해 세밀하고 근원적인 분석을 하였음. 또한 불교는 원만한 삶에 대해 제시를 해주게 되면서, 유가의 권위를 넘어서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속된 진리를 표현 俗諦(속제) <->眞諦(진제)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
-인식의 비약과정 (우리가 명명하는 언어 자체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일 수 있다. 산의 본질을 깨달아야지 명명자체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산은 물이고, 물은 산이다.’
-우리가 본질을 깨닫는다면 어떻게 불러도 아무런 상관이 없음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우리가 산의 본질을 알고 난 뒤에 부르는 산은 진실된 의미의 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밖에 존재하는 산과 우리 안의 산이 합치된 것이며, 이것이 바로 진정한 진리를 의미한다.
-因緣所生(인연소생), 색, 소리, 맛, 또는 나라는 것들은 인연이라는 조건에 의해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들이 없다면 나라는 것이 없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진리이다. 세상이 바로 空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유학자들이 위기의식을 느낌.
-불교학자들이 空을 통해 관계란 것을 없애버린다면 개체란 독립된 것으로 존재하지 못한다. 라고 주장했다. 유학자들은 이 空안에 理와 氣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말함. 사람은 관계 속에서도 존재하지만 그 자체로도 사람일 수밖에 없는, 하늘로부터 받은 이치가 있다고 말하며 세상은 空하지 않고 리와 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함(불교와의 대립적인 시각을 보여줌).
-송나라와 명나라의 유학자들은 국가/사회 질서와 체계의 확립과 부여받은 天理(천리)에 따라 살아가도록 하는데 관심을 둠
<송나라 朱子> (주자리학: 性卽理- 본성이 곧 천리다)
- 유학의 집대성, 사서를 편집함(만듦). 예기 가운데 한편을 떼어내어 대학이라는 것을
만듦. 사서는 수백년간 관리를 뽑기 위한 시험에 중요한 역할을 함.
사서: 논어/맹자/대학/중용
- 주자리학: 性卽理- 본성이 곧 천리다- 천리가 물건의 본성에 내재되어있다.
- 理一分殊(이일분수) - 하늘의 궁극적인 이치가 모든 사물에 내재되어 있다. 주자는 이
를 월인만천- 강물 위에 비친 달 그림자로 설명함
格物致知(격물치지)- 따라서 모든 사물에 대해 연구(격물)를 해야 진정한 의미의 천리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
-存天理 去人慾(존천리 거인욕)- 천리를 보전하고 사람의 욕심을 제거하는 것을 중요시

<명나라 왕명>
- 양명심학: 心卽理- 마음이 곧 천리다. 자신의 마음을 잘 연구하면(격심) 천리를 볼 수 있다.
- 心外無物- 마음 밖에는 아무것도 없다. 마음 안에 모든 천리를 갖고 있다는 뜻.
- 주로 참선을 통해 깨우치는 방식인데, 현실세계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모든 걸 깨달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며 이는 이와 비슷한 불교의 선종과 비슷한 길
을 걷게 된다.
-맹자의 良知說(양지설) - 판단이 필요하지 않은 지식을 우리가 갖고 있는데 우리는 이를
양지라 하며, 우리는 이를 통해 선행을 할 수 있다.
-왕명은 이러한 양지를 천리로 보았다.
---->이 두가지 학설의 논쟁은 현재까지 계속 되고 있다.
---->유학이 이때에 와서야 진정한 철학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修身齊家治國平天下(수신제가 치국평천하)
이를 유학에서 말하자면 內聖外王(내성외왕)이라고 할 수 있음.
내성-안으로 성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함
외왕-외부의 이치를 탐구해야한다(정치적/사회적 부분에도 힘을 써야한다.)
-->유가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간향이 내성외왕이라고 할 수 있음.
장재의 <서명> - 내성외왕을 잘 보여줌
=====>유학의 여러 가지 폐단도 발생.
심학의 경우-주관성을 강요하다 보니, 사회적 활동 등을 도외시 하게 되었고,
주자의 경우-인간의 욕망을 제거를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적인 욕구마저 제거
하려고 함.
- 청대의 학자들은 송명이학이 以理殺人(이리살인-리를 보존하기 위해 사람을 죽였다)이라 말하고, 추상적이고 공허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지식을 주지 못한다며 비판함.
실학- 實事求是(실사구시-실제적인 일에서 옳음(진리)을 구한다.)를 강조함. 참선과 좌정을
통해 이치를 깨달으려 했던 송명이학자들과 대립됨.
경학(고증학)- 한나라와 청나라, 두 시기에 발생.
- 한나라 때는 분서갱유 이후 경전을 연구하고 위서인지 여부를 연구함.
- 청나라 때는 만주족이 한민족을 지배한 때이므로, 한족 관리들이 대거 귀향
을 하게 되면서, 이들이 성현들의 말씀을 연구함.
또한 송명유학자들의 연구가 공자와 맹자가 말하지 않은 것까지 발전시키
면서 너무 왜곡 되었다고 비판하며, 다시 불교와 송명유학자 이전의 시대인 한나라 시대의 경전을 연구하자라는 취지에서 발달함.
-서양의 문물에 의해 유학(실학과 경학도 유학의 범주에 포함됨)이 끊임없이 도전 받게 됨.
-여러가지 불평등한 조약을 서양과 체결하게 됨.
-나라를 다시 강하게 하기 위해 양무운동(서양을 배우자는 운동)을 펼침
-청일전쟁에서 처참하게 패하면서 겉으로만 서양을 배운 양무운동은 실패했다는 것을 알게

-서양을 제대로 배우자는 변법유신운동을 펼치고
-그후 신문화 운동과 신해혁명을 거치며
-1949년의 모택동의 공산주의 혁명을 통해 근대 국가의 모습을 갖춤.
-중국철학은 각자의 사상이 크게 맞물려 있지 않지만, 서양의 사상(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칸트)은 이론중심으로 서로 맞물려 있음.
-동양사상은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지만, 서양사상은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지는 않음.
-경학전통: 분석과 분류와 탐색 등의 논리적인 분석이 동양사상에 함유가 됨(특히 청대)
-인본주의: 왕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넘어옴
-과학: 과학을 통해 동양사상이 환골탈태하고 쇄신할 수 있는 분위기가 갖추어짐.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9.2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