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9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9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교의 중국 도입과 발전

2. 불교의 일반적 개념

3. 이체설

4. 승조의 철학

5. 도생의 돈오성불설

6. 선종의 기원

7. 제1원리와 수양방법

8. 지식 아닌 지식, 수양아닌 수양

본문내용

관식 문제: 승조의 철학이 아닌 것은?
보기: 조론, 부진공론, 물불천론, 반야무지론
정답: 조론
*물불천론
-정지와 변동에 대해 이야기함.
-인간은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내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자아동일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냄. 그러나 이것은 존재하지 않음.
-변화와 정지라는 개념을 초월해야 함을 말함.
*오온(五蘊): 인간을 구성하는 것
색(色): 몸
수(受): 감수
상(想): 지각
행(行): 의지, 행동
식(識): 분별의식
===>이러한 것은 전부 인연에 의해 생겨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이 공空이다. 따라서 ‘자아동일성’이라는 것은 존재의 근거를 잃어버리게 된다.
-지와 무지에 대해 논함
*반야무지- 성지(聖知): 가장 높은 수준의 지식, 앎.
*지에는 소여(所與:지의 대상)가 있음. 그러나 성지에는 소여가 없음.
===>승조는 유와 무, 정지와 변동, 지와 무지의 모든 것을 초월해야 한다고 말함.
*도생- ‘구마라습’의 또 다른 제자
*돈오성불설(頓悟成佛設) ↔ 점수성불설(漸修成佛設)
*도생은 돈오성불설을 주장함
-견성(見性): 누구에게나 있는 불성을 갑작스럽게 깨달음 =성불
*도생을 통해 불교가 선종으로 발전함(현재 우리나라와 중국의 주류)
-인도에서는 없었던 경향, 중국에서 토착화되고 융화되면서 중교에서 생겨남
-토착화된 '중국불교‘라고 볼 수 있음
-돈오설을 주장: 선종의 성립에 큰 역할.
*돈오와 점수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불교가 발전하였음
====>‘승조’에 의해 ‘중관’적인 방식이 확립되고, ‘도생’에 의해 ‘견성’과 ‘돈오’라는 개념이 확립됨. 이것이 선종의 이론적 토대가 됨.
*교외별전(敎外別傳): 비밀적인 가르침
*인도에서 ‘달마’가 이 비교를 가지고 중국으로 와서 중국에 전수
: 중국 선종의 1대 조사가 됨
*홍인: 5대 조사
*홍인의 제자 두 명: 최초로 선종의 분열이 일어남.
-(갈라진 일화)홍인이 죽기 전에 조사자리를 넘겨주기 위해 선종의 교리를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는 시를 짓게 함. 신수는 성실파였음. 모든 사람들은 신수가 조사가 될 것이라고 믿음
<객관식>
이 시를 한글로 주어주고 이 시의 지은이를 물어봄
(정답)혜능
<신수의 시>
*끊임없는 수양을 강조: 도생의 이론과 유사- 불성론(인간이란 불성을 갖고 있으며 수
양을 해야할 무엇인가가 있다.)
===>신수의 이론을 성종(性宗)이라고 이름붙임
흥인이 이 시를 보고 만족을 함. 그러나 그날 밤 사원의 벽에 밑의 시가 쓰여짐.
<혜능의 시>
*마음조차 없음을 말함: 승조의 이론과 유사함-공의 측면을 강조(절대적인 무)
===>혜능의 이론을 공종(空宗)이라고 이름붙임
흥인은 이 시를 보고 깜짝 놀람. 마음조차 없다는 선종의 마음가짐을 드러낸 시임. 흥인은 어쩔 수 없이 혜능을 자신의 조사자리를 물려주려 결심. 흥인은 괴로워하며 혜능에게 6대 조사의 자리를 물려준 후, 혜능을 사원에서 떠나게 함.
-신수(神秀): 북종의 창시, 엄격한 수양을 강조하므로 일반 대중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음. 후에 소멸하게 됨.
-혜능(慧能): 남종의 창시, 일반 대중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짐, 간단한 화두(이것을 통해 진
리에 도달한다는 하나의 개념을 의미)만을 통해서도 진리에 도달할 수 있기 때
문에 후에 번성하게 됨.
===> 일반적으로 선종이라 함은 혜능이 중심이 된 남종을 말함.
*제일의(第一義)
-불교의 궁극적 진리, 선종의 제일 중요한 뜻 =진체(眞諦)
-명확한 정의가 없음. 말로써 표현할 수 없음: 언어도단(言語道斷)
*불립문자(不立文字)/ 이심전심(以心傳心)
-인간의 표현방식으로써 제일의를 전달할 수 없음을 말함
*어록(語錄)의 예시
-마조가 ‘왜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합니까?’라고 묻자 혜능이 ‘난 단지 아이들의 울음을 그치게 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마조가 ‘울음이 그치지 않으면 어떻게 합니까?’ 라고 되묻자 혜능이 ‘그렇다면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의현義玄-임제종의 창시자
*신수- 심즉불(心卽佛): 마음이 곧 부처다
*혜능- 비심비불(非心非佛):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수양 아닌 수양: 작위적인 수행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을 의미
*마조이야기: 명상과 같은 작위적인 방법을 행하지 않아야 한다.
작위적 방법(유위 有爲)↔ 비작위적 방법(무위 無爲):고의적인 선택 분별이 없음
희운(希雲)선사의 말
-작위적 방식의 명상이나 수양은 어디에 기대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연이나 조건이 사라지면 부처가 되는 길도 사라짐
-부처의 뜻이 말로 표현할 수 없다면 불경은 왜 존재하는가? 부처가 비록 진리는 말로 드러날 수 없는 것이라 하였지만 방편설교(方便說敎)라는 것을 중시하였기 때문
*방편설교: 물고기를 잡는 그물처럼 불경은 하나의 수단일 뿐. 그러나 이것이 없고서는 진
리에 도달하지 못한다.
*정신수양의 방법: 돈오(頓悟)
*임제종의 창시자 의현
:오늘날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는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바로 자신을 믿지 못하는 데 있다. 스스로의 믿음이 미치지 못한다면, 스스로는 망망한 상태에 의하게 되어 주변의 수많은 변화에 마음을 빼앗기게 되고, 굴복하게 되어 자유를 얻지 못하게 된다. 만약 이리저리 오가는 마음을 안정시키는데 성공한다면, 역대 조사나 여러 제불(부처)과 다를 바 없다. 누가 조사이고 부처인지 알고 싶은가? 바로 내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당신이 바로 조사이고 부처이다. 수행을 하고자 하는 당신들, 부처의 가르침을 얻고자 하는 당신들에게 힘쓸 곳이 없다. 단지 평상 무사하면(일이 없으면) 족할 것이니, 오줌 누고 싶으면 오줌을 누고, 추우면 옷을 걸치고, 배고프면 배를 채우는 것이며, 피곤하면 드러눕는 것이다. 어리석은 자는 나를 비웃을 것이나, 지혜로운 자는 내말을 이해할 것이다.
*선종의 수행방식: 무수양의 수행방식
*유가에서 이야기하는 부모를 섬기는 것이나 임금을 받드는 것에서 도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에 대해 불교는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음. 이후에 송명유학자들이 던진 질문임. 송명시대의 유학을 ‘신유학’이라고 부름. ‘신유학’은 겉으로는 불교에 배척하는 입장에 섰지만, 내부적으로는 불교의 이론을 흡수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9.23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