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여주고 있다. 시에서 어떠한 표현으로 지은이의 마음을 표현하든, 결국 이별의 정한으로 표현된 우리 민족 고유의 한의 정서라는 기본적인 바탕 표현에 충실하고 있다. 한국 문학과 한의 정서
한시 송인(送人) 시구 풀이
나의 감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7.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서인 한(恨)의 원류(源流)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노래의 중요한 제재인 ‘강물’이 훗날 고려 속요인 ‘서경별곡(西京別曲)’ 이나 한시인 정지상(鄭知常)의 ‘송인(送人)’ 등 많은 이별가에 등장하고 있음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6.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送人」, 『韓國古典詩學論』, 서울:새문사. p. 40
라고 평하였다.
그러나 이수복의 「봄비」와 정지상의「송인」의 정서는 이 두시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보지 않는 한 매우 달라서 공통점을 찾기가 힘들다. 이수복은 정지상의 「송인」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서의 유사성\' 비교)
◈송인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연계 작품 분석
공무도하가 → 서경별곡 → 송인(送人)
◈이별 정한의 맥
·\'황조가\' →\'서경별곡\',\'가시리\' → \'송인\' →황진이의 시조 →민요의 \'아리랑\' →김소월의 \'진달래 꽃\'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인(送人)>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긴 언덕에는 풀빛이 푸른데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남포에서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다할 것인가,
別淚年年添綠波 이별의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5.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